또한 김동인은 대원군을 호랑이같은 사내대장부이면서도, 의 탄압을 피해 때를 기다리며 참고 견딜줄을 아는 속깊은 사람으로 이해한다.
In exchange for his help, the Daewongun asked for a promise that if the reforms succeeded, "Japan will not demand a single piece of Korean territory".
흥선대원군 쇄국 정책 배경 4.
'라고 명했다.
지금은 결과를 아니까 망국으로 가는 길이였다는 것은 아는데요.
By early October, it became clear that "the plan to use the Taewongun [Daewongun] as a vehicle for the reform program had misfired".